성경적 통일신학 1(Biblical Studies on Unification Theology 1)
이 과목은 남북한 겨레화해와 통일의 신앙적, 신학적 근거를 성경본문에서 찾아 연구한다. 다윗의 남북화해 정치와 통일, 주전 8세기 이사야의 민족화해 사상, 이사야의 메시아사상, 남은 자 사상, 역대기서의 민족화해 사상, 그리고 나사렛 예수의 사마리아 포용신앙, 사도 바울의 유대인-이방인 화해 통일 선교론을 성경본문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현대 북한 정치사 연구(Studies on Political History of North Korea)
남북 분단 이후 70여 년간의 현대 북한정치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북한정치의 특성을 이해한다. 주된 탐구 주제는 해방 후 좌우의 이념 대립과 정권 수립, 북한 내 권력투쟁과 유일지배체제 확립, 권력승계 과정 및 각 집권자의 통치행태 특성 등이다.
통일경제론(Economic Study of Unified Nation)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학과 남한의 자유 시장경제체제론, 생산양식과 분배방법, 소비형태 그리고 북한식 자본주의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고 통일 국가의 경제정책을 연구한다.
통일법론(Methodology of Law)
남북한의 통일의 의미, 필요성과 방법에 따른 법제의 문제를 다룬다. 통일을 위한 국가협약이나 조약, 통일에 따른 남북한의 헌법, 형법, 사법 문제, 특히 토지질서의 재편과 신분 및 상속의 문제와 재사유화의 문제, 국제법상의 문제 등을 심도 있게 논구한다.
통일선교신학 1(Mission Theology for Unification 1)
통일의 당위성을 성경 안에서 발견하며 남북한 사람들의 민족 정체성의 이질화를 연구하고 그 두 집단이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신학을 연구한다. 신학의 토대 위에 통합국가의 기업, 가정, 학교, 교회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영감을 나눈다. 통일국가를 위한 정책, 전략, 사업부분에 대해 기독교 관점에서의 기초를 제공한다.
북한현안연구(Studies on the Pending Issues of North Korea)
현재 북한에서 벌어지고 있는 제반 현안들을 다룬다. 최고지도자의 통치행위, 대내외정책 및 남북관계 현안, 북한사회의 변화실상 등을 연구하고 향후의 정책방향을 전망한다. 당면 현안에 대한 토론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최근 북한정세를 이해하는 안목을 배양한다.
통일국가제도론(Institutional Foundation for Unification)
이 과목은 남북한이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기 위해서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연구하는 것이다. 남한과 북한과 같이 서로 다른 두 사회가 하나로 통합되고, 나아가 국가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양자의 차이를 수용하면서 통합 국가가 되게 할 정치, 행정 및 사회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제도적 기반이 필수적이다. 이 과목에서는 통일한국의 기반으로서 관습이나 규범 등 비공식적 제도와 재산권 및 정치 및 행정 체제 등 공식적 제도 등에 관해 연구한다.
기독교통일역사(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한국선교 130년간 기독교가 한국의 시대적인 상황과 주고받은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남북 분단 이전과 분단의 시기에서 기독교의 가치인 자유,민주,평화,연합의 정신이 남북한의 통일운동과 연합운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며 한국기독교역사를 통일의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기독교통일운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전망해 본다.
문화인류학으로본북한사람의이해(Understanding North Korean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북한사람을 문화인류학적, 구속사적, 선교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통일인문학(Humanities Studies for Unification)
남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교육, 복지정책에 나타난 철학사상을 비교·분석하고 통일국가시대에 추구해야 할 사상과 철학을 연구한다.
통일공적신학(Public Theology for Unification)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분쟁과 폭력, 갈등의 문제와 지식과 정치, 경제, 사회 분야 등에 대한 공적 담론을 신학적으로 조명해 본다. 통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을 예측해 보고 신학적으로 탐구한다.
기독교통일연구방법론(Methodology for Christian Unification)
남북한 사회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사회과학의 핵심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이후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및 실습을 실시한다.
한국교회의 통일선교(Korean Church Mission Work for Unification)
한국교회의 북한선교와 통일로 나아가기 위한 선교적 교회론을 탐구하여 통일 후의 북한교회 재건 방법론을 연구한다. 한국교회와 한인교회가 공유해야 할 공통된 정책을 모색한다.
기독교통일전략론(Studies on Strategical Plans for Christian Unification)
한반도 통일을 이루기 위해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와 남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부분을 다각도로 검토한다. 기독교 신학에 기초하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ies for Unification)
기독교통일지도자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기독교신학, 문화인류학, 사회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연구하여 학문수행에 필요한 분석기법과 절차, 방법을 습득하고 관점과 틀을 형성해 간다.
기독교통일교육(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남한의 학교교육과 교회교육과정을 탐구하여 기독교학교와 단체, 교회에서 통일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현황을 분석하고, 통일 후 남북한의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북한의 종교와 사상(North Korea Religion and Ideology)
‘북한의 종교와 사상’ 교과의 목적은 북한체제의 종교적 성격을 이해하고 대응방향을 탐구하는데 있다.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과정, 주체사상의 형성배경 및 핵심내용, 북한 주민들에 대한 사상교육 실태와 효과 등을 학습하고 대북선교의 시사점을 모색한다.
복합기능 특별행정구역 및 도시개발(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Urban and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최근 낙후 지역 및 국가 등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틀로서 경제자유구역 (special economic region) 또는 경제자유도시 (charter c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과목은 북한지역의 발전을 위한 전략으로서 경제자유구역과 경제자유도시에 대해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자유구역 및 도시의 이론과 개발전략을 탐구하고, 아울러 실제적인 개발사례로서 독일, 예멘, 베트남 등 통일국가에서 채택한 경제자유구역과 도시의 사례와 경제자유구역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룩한 중국의 경제자유지역 및 도시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중국, 러시아 및 북한의 접경지역인 두만강 지역 및 압록강 지역의 도시들을 경제자유도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과 개발전략을 검토한다.
통일신학연구 1(Studies on Unification Theology 1)
박사과정에서 학생 자신만의 통일신학을 발전시킨다. 석사과정에서 연구한 통일선교신학을 심도있게 발전시킨다. 기독교인으로서 통일에 대한 신학적 방향을 바로 잡고 통일국가를 위한 정책, 전략, 사업부분에 관하여 연구한다.
통일선교전략 1(Mission Strategies for Unification 1)
남북한 분단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한선교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북한이탈주민 선교실태(구심적 선교), 북한 내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선교실태(디아코니아 선교), 제3국에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을 선교하는 실태(원심적 선교)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나아가 전문 통일선교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선교의 현장을 연구하여 이를 이론적으로 발전시킨다.
통일국가 교육복지(Educational Institutions for Unified Nation)
통일 후 남북한 사회에는 의, 식, 주, 안전, 의료의 문제가 대두된다. 통일시대에 남북한 사람들이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독교의 교육복지정책을 모색한다.
통일국가 교육론(Educational Theory for Unified Nation)
통일국가에서 남북한 사람들이 사회통합을 이를 수 있도록 남한과 북한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해 본다. 주체사상으로 세뇌당한 북한의 어린이, 청소년, 젊은이들이 효과적으로 교회, 학교, 기관에서 복음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통일선교와 복지(Mission and Social Welfare for Unification)
대한민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2만 8천명과 통일 후 북한 2천 4백만 사람들에게 복음을 경험하게 할 수 있도록 외국의 복지사례를 분석하고 통합국가의 복지정책을 연구한다.
기독교 평화교육(Christian ‘Peace’ Education)
남북한의 학교교육과 남한의 교회교육과정을 탐구하여 평화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현황을 분석하고, 통일 후 북한 사람들과 평화와 화해의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기독교통일지도자학 워크샵(Workshop for Christian Leaders for Unification)
남한의 북한선교· 북한이탈주민 사역현장과 해외의 분쟁-화해지역을 방문하여 연합과 일치, 화해의 현상을 분석하고, 통일국가시대의 한반도 복음화, 평화, 연합·일치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기독교통일리더십(Christian Leadership)
남북의 평화적 통일을 이끌어 내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을 성경 속에서 찾고 스스로 갖추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비평학(Criticism on Unification Studies)
기독교통일지도자학에 대해 비평적 시각에서 논의하고, 다양한 관점으로 학문을 발전시킨다. 또한 북한선교현장, 북한이탈주민 사역 현장의 참여관찰자가 되어서 컨텍스트를 이해하고 연구해 간다.
북한의 사회·문화·예술 이해(Understanding of North Korea Society and Culture)
북한의 언어, 가정형태, 문학예술, 체육, 언론 교육, 복지정책 등을 연구하여 남북한의 문화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질성과 동질성을 파악한다. 남북한 사회문화의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동북아 사회·문화·예술 이해(Understanding of Northeast Asian Culture)
북한의 언어, 사회, 문화, 예술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동북아의 언어, 사회, 문화, 예술을 비교 분석하며 통일시대의 사회적 통합의 방안을 모색한다.
남북한통일정책비교연구(Studies on Comparison of North-South Korea Policies)
분단이후 남북한의 역대 지도자들이 펼친 통일론을 비교평가하고 기독교적 가치에 근거한 통일관을 모색한다.
남북한정치 체제 비교 연구(Studies on Comparison of North-South Korea Political System)
일제강점기 이후 남북한의 주요 정치적인 현상과 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정치체계를 비교· 분석한다. 남한이 북한을 아우르는 방식의 통일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북한체제의 상대적 우위점과 약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독립운동의 기독교 정신과 통일(Christian Spirit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Unification)
첫째, 항일독립운동시기 역사적 고비 때마다 한국교회가 행한 구체적인 역할과 활동을 탐색해 봄으로써 이 시기 기독교정신을 재해석하고 재정립하는 데 기여한다.
둘째, 기독교가 독립운동에 구체적으로 행한 역할을 부각시킴으로써 기독교인의 자긍심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셋째, 항일독립운동시기의 기독교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기독교가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한 공로를 살펴본다.
넷째, 기독교정신이 독립운동시기를 거치며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역사적 정통성 확립에 기여한 근원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하여 국민통합을 이룩하고 복음적 평화통일의 기반으로 삼는 데 기여한다.
통일국가정치론(Political Theory for Unified Nation)
북한과 구소련, 중국, 동유럽, 베트남, 쿠바 등 타 공산국가의 정치제도와 행정체계, 사회구조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남한과 비교 분석한 후, 통일국가의 정치제도 형성을 위한 기틀을 모색해 본다.
국제관계이론(Studies on International Relations)
국제관계에 대한 기본이론을 습득하여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이상주의, 현실주의, 행태주의, 자유주의, 구조주의 및 외교정책결정이론 등 주요한 국제관계이론을 분석하여 통일 후 상호 유익이 되는 국제 관계론을 연구한다.
통일외교론(Studies on Foreign Policy for Unification)
분단 이후 제 3세계 국가를 중심으로 강화해 온 북한의 외교정책을 연구하고 통일국가를 위한 외교정책과 전략 방안을 모색한다.
독일통일과 법의 역할(German Unification: Constitution and Law)
독일은 국가조약과 통일협약 등을 통해 통일한 후 약 5년간 5000개의 법률들을 제정하여 양국간의 법률적인 통합을 이룩하였다. 헌법과 형법, 민법 등 기본적인 법률분만 아니라 경제협력과 환경, 재사유화 등 모든 영역에서 법의 역할은 지대하였다. 이러한 독일 통일과정에서 법의 역할을 논구함으로써 남북한의 통일시 법의 역할을 모색해 본다.
통일 후 가족법과 상속법제에 관한 연구(Studies on Family and Inheritance Law)
분단시기인 현재에도 법원에 소송이 제기되어있는 이산가족들의 신분질서, 이산배우자의 사망에 따른 상속의 문제 등 가족법상의 문제와 상속문제에 관하여 개별 사건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논구한다.
통일 후 토지법제에 관한 연구(Studies on Property Law)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관점에서 보면 매우 영토가 협소한 나라이다. 통일 후 국가질서의 재편과 관련하여 가장 핵심적인 과제중의 하나는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이다. 북한 지역이 투기장이 되지 않도록 토지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토지의 사유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를 심도 있게 논구하고자 한다.
통일 헌법론(Studies on Constitutional Law)
통일에 따른 헌법상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논구한다. 북한 정부수립 이후 2009년 헌법이 개정되기까지 변화와 함께 헌법의 관점에서 본 통치구조상의 특징과 그 의미 등을 북한사회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검토한다. 또한 통일 후 발생하게 될 양 체제간의 영토문제, 헌법의 통합문제, 통일헌법의 제정문제 등을 심도 있게 논구하고자 한다.
남북관계와 국제법에 관한 연구(North-South Korea Relations and International Law)
현재 남북한 독립된 국가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국제법적 측면에서 남북한 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강좌에서는 분단국가인 남북한의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발생되는 영토나 남북교류 문제 등 법적 문제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구하고자 한다.
북한의 형사법 연구(North Korea Criminal Law)
2006년에 국내에서 북한의 형법과 형사소송법을 체계적으로 해설한 ‘북한의 형사법’을 발간하였다. 죄형법정주의와 유추해석금지의 원칙은 현대 형사법의 대원칙인데, 이러한 원칙을 부정하던 북한에서 형식적이나마 북한 형사법에서 이 원칙을 채용하였다. 이러한 북한 형사법의 변화와 북한의 형사관계 법률의 내 및 그 실제적인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북한에서의 형사법제의 운용실태와 북한체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남북경제협력과 법률문제에 관한 연구(North-South Korea Economic Relations and Legal Issues)
외국인 투자와 관련된 북한법률들뿐만 아니라 북한에 대한 투자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관련 법규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남북경협의 현황, 유형, 절차, 문제점, 더 나아가 발전방향 및 남북경제통합문제 등을 심도 있게 논구하고자 한다.
북한의 법체계와 북한법의 이해(North Korea Law and Legal System)
북한의 법체계는 통상 남한의 법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있는데, 통상 헌법, 헌법관련 및 행정부분, 사법부문 등 17개 영역으로 분류한다. 또한 이러한 북한법의 입법체계는 2009년 개정 공포된 헌법을 정점으로 헌법상 법령과, 부문법과 중요부문법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북한법들을 분야별로 나누어 심도 있게 논구하고자 한다.
북한의 농업과 식량문제(North Korea Agriculture and Food Shortage Issues)
북한의 식량생산 및 소비 구조와 식량 부족에 따른 사회적 국제적 파급사항을 분석한다. 김정은의 경제개선조치에 따른 현상을 분석하며 통일 후에 식량문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한다.
통일국가 산업구조와 기업론(Studies on Business and Industrial Structure)
현재의 북한 산업구조와 기업론을 분석하고 통일 후 필요한 전문 분야를 파악하며 기독교 관점에서 기업이 해야 할 방안을 연구한다.
선진통일전략론(Strategies for Advancement of Unified Nation)
통일국가에서 세계화와 선진화를 이룰 수 있는 기독교 사상과 정책과 체제와 원리를 연구한다.
통일정부와 국가발전(Development of Unified Government and Nation)
통일된 국가의 정부 구성방법과 국가발전을 위한 체제와 원리 그리고 근간이 되는 정신을 연구한다.
통일과 정치사상(Unification and Political Thought)
이 과목은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지도자를 위하여 정치사상의 여러 주제들 가운데 리더로서 알아야 할 중요한 주제들을 선택하여 바른 신앙과 올바른 정치판단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통일에 필요한 정치적 판단력을 키우는 교과목이다. 주요 주제로 정치적 악, 폭력과 권력, 국가의 기원과 정부의 의미, 시민불복종, 각종 정치 이데올로기, 전통과 개혁, 보수와 진보, 각종 통일관에 전제된 정치사상 등을 다룬다.
통일현안연구 (Studies on the Pending Issues of Unification)
본 과목에서는 한반도 통일문제의 구조적 이중성(남북한의 민족문제이자 주변4국의 국제문제)과 상황적 이중성 (탈냉전적 협력과 냉전적 대결)을 유념하는 가운데 평화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통일정책방향과 해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주변4국의 세계전략과 대한반도정책을 살펴본 후, 분단 70년 동안 추진된 남북한의 통일정책 패러다임 한계와 통일현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
성서적문화통합(Unity Paradigm: Unity Approach to Christian Global and Local Missions)
성경적 관점에서 통합에 관한 말씀들을 연구하고 다양한 문화를 함께 공존하며 살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통일리더십과 경영원리(Christian Leadership and Administration in Unification of Korea)
기독교적 관점에서 남북의 평화적 통일을 이끌어 내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을 성경 속에서 찾고 경영학적 원리와 접목시켜 연구한다.
통일목회의 이론과 실재(The Theory and Practice of Unification Ministry)
통일 목회의 바탕이 되는 이론과 실제 사역 현장 이야기를 통해 목회자들에게 통일 목회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연구한다.
통일과 하나님 나라 (Unification and the Kingdom of God)
통일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 당위성을 찾는 학문이다.
김정은 리더십연구 1 (Studies on the Kim Jong Un’s leadership 1)
북한의 최고 지도자 김정은의 인물성향과 통치행태의 특징, 김정은 체제의 전망에 대해 연구한다. 북한 체제는 지난 70여 년간의 역사를 통해 ‘수령의 유일영도체계’를 구축해 왔다. 현재의 북한은 ‘수령을 위한, 수령에 의한, 수령의 체제’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과목을 통해 북한의 대내외 정책이 수령인 김정은의 리더십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고 전개되는지를 학습함으로써 북한체제의 근간을 이해한다.
김정은 리더십연구 2 (Studies on the Kim Jong Un’s leadership 2)
북한의 최고 지도자 김정은이 펼치는 구체적인 통치사례를 분야별로 연구한다. ‘수령의 유일영도체계’를 특징으로 하는 체제의 특성상 북한의 제반 정책은 김정은의 의중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이 크다. 이 과목을 통해 김정은의 체제유지 전략(선군노선, 핵개발), 용인술, 민심회유 시책(인덕정치, 음악정치 등), 경제관리 방식, 대외 및 대남정책의 특징 등에 대해 연구한다.
성경적 통일신학 2 (Biblical Studies on Unification Theology 2)
성경적 통일신학의 심화과정
통일선교신학 2 (Mission Theology for Unification 2)
통일선교신학의 심화과정
통일선교전략 2 (Mission Strategies for Unification 2)
통일선교전략의 심화과정
통일신학연구 2 (Studies on Unification Theology 2)
통일신학연구의 심화과정
분쟁지역연구 1 (Conflicted Region Research 1)
남북아일랜드 분쟁 남아공 흑백갈등,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지역과 남북 키프러스, 독일통독에 대한 역사 연구를 실시한 후에 방학을 이용해서 현장을 방문하는 프로그램이다. 분쟁지역 방문은 본인 부담원칙으로 한다.
분쟁지역연구 2 (Conflicted Region Research 2)
남북아일랜드 분쟁 남아공 흑백갈등,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지역과 남북 키프러스, 독일통독에 대한 심화과정으로 신학적 접근연구를 실시한다. 각 지역별 발전시킨 화해, 평화신학을 정립한다. 분쟁지역 방문은 본인 부담원칙으로 한다.
분쟁지역연구 3 (Conflicted Region Research 3)
남북아일랜드 분쟁 남아공 흑백갈등,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지역과 남북 키프러스, 독일통독에 대한 평화프로세스의 정책을 연구하는 심화과정이며, 한반도평화프로세스를 창안한다. 분쟁지역 방문은 본인 부담원칙으로 한다.
통일리더십 (Unification Leadership)
교회와 사회에서 분쟁을 줄이고 포용의 리더십으로 조화로운 공도체를 창출하는 리더십을 연구하며 나아가 남북분단을 통일로 바꾸는 리더십을 연구한다.
목회와통일 1 (Pastoral ministry and unification 1)
분단국가에서 목회 할 목회자들이 통일목회를 지향하고 학문적인 발전을 시켜 통일목회를 지향하는 것을 기초적으로 연구한다. 나아가 교회와 사회에서 분쟁을 해결하는 원리를 정립한다.
목회와통일 2 (Pastoral ministry and unification 2)
분단국가에서 목회 할 목회자들이 통일목회를 지향하고 학문적인 발전을 시켜 통일목회를 지향하는 것을 연구하는 심화과정이다. 나아가 교회와 사회에서 분쟁을 해결하는 원리를 실현해본 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한다.
목회와통일 3 (Pastoral ministry and unification 3)
분단국가에서 목회 할 목회자들이 통일목회를 지향하고 학문적인 발전을 시켜 통일목회를 지향하는 것을 연구하는 최고의 과정이다. 나아가 교회와 사회에서 분쟁을 해결하는 원리를 신학적으로, 정책적으로 정립한다.
통일경제개발론( Unification Economic Development)
통일을 전후로 낙후된 북한경제를 발전시키고 사회간접자본 및 인프라(SOC)를 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회과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고 활용하기 위한 경제학적 통찰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
북한도시민연구1( North Korea City Population Research1)
본 과목은 북한도시에 사는 사람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북한 사람들이 주로 사는 곳이 도시이고 그 도시는 융합학문으로 분석할 수 있는 영역이고 그 모든 도시 묘소들은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의 정체성에 영향을 준다. 본 과목은 북한도시의 역사, 문화, 주요 산물, 주요 인물, 주요 제도 등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통일국가의 도시와 지역연구(Studies on Cities and Region of Unified Nation)
최근 세계화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 등으로 도시와 그 도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 경제, 사회, 정치 및 문화 등 인간 삶의 중심 단위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도시와 지역은 향후 남북이 하나가 될 때에서도 통일 국가의 주민들 삶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이 과목은 통일 국가의 사회변화 주도자로서 기독교통일지도자가 이해해야 할 도시와 지역에 관한 주요 쟁점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는 도시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체제전환과 도시변화의 이해 및 도시성장, 주택, 교통, 빈곤 및 환경문제 등 통일국가 도시 및 지역의 분야별 과제 등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
북한도시민연구2( North Korea City Population Research2)
본 과목은 북한도시에 사는 사람을 연구하는 심화 과목이다. 북한 사람들이 주로 사는 곳이 도시이고 그 도시는 융합학문으로 분석할 수 있는 영역이고 그 모든 도시 묘소들은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의 정체성에 영향을 준다. 본 과목은 북한도시의 역사, 문화, 주요 산물, 주요 인물, 주요 제도 등등을 심층있게 연구하는 과목이다.
통일NGO경영( Unification NGO Management )
본 강의는 북한에 중점을 둔 비영리 단체 NPO와 비정부 NGO 기구의 경영을 검토할 것입니다.
북한도시분석(Analysis on North Korean Cities)
북한사회는 수령제라는 특수한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러한 특수성은 도시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도 중요하게 반영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북한의 도시들에서 발견되는 기본적인 특성들을 연구하고, 최근의 영상자료를 통해 북한 도시의 변화상과 발전방향 및 통일선교에 주는 시사점 등을 탐구한다.
남북한 경제협력과 국제경영( South-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Management)
본 과목은 첫째 북한의 경제 현황 및 전환기 경제를 살펴본다. 둘째, 남북한 경제협력의 현황, 제도와 정책 및 사업을 이해한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 남북한 경제통합의 전략과 정책을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관점에서 향후 대북제재가 해제될 경우를 대비한 한미일 기업들의 대북한 국제사업과 현지경영 및 국제경영전략을 살펴본다.
한반도평화체제론(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본 과목은 먼저 평화의 개념, 평화체제의 정의를 알아보고, 평화체제와 관련된 이론을 탐색할 것이다. 연후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하여 누구를 위한 평화체제여야 하고, 어떤 평화체제여야 하며, 어떻게 평화체제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와 그에 대한 답을 찾아나갈 것이다. 특히 평화체제 구축 방법과 관련해서는 협상전략과 기능주의적 통합 접근 방법을 중시할 것이다. 한편, 남북한이 추구하고 있는 통일방안(한국의 남북연합제와 북한의 낮은 단계 연방제)을 평화체제론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국제적 시각에서는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가능성 여부와 그 실효성을 따져볼 것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초미의 관심사가 되어버린 북핵 문제와 관련하여 ‘비핵화-평화체제’에 대한 주변 주요 국가들의 입장을 살펴보는 한편, 그에 대한 우리의 대응책도 모색하고자 한다.
전체주의 연구(Seminar on Totalitarianism)
독일의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분석에서 나온 전체주의 개념과 그 현상에 대한 역사-철학적 세미나로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북한사회를 포함한 현대의 전체주의 양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추구한다
북한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North Korea Studies)
이 과목은 북한에 대한 연구를 이론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있다.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군사, 대외정책, 대남정책 등 제반영역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방법론을 소개한다.
분단국통합사례연구(The Study of Divided Countries’ Integration Cases)
남북한은 2차대전 이후 분단되어 상반된 체제로 70년 이상을 보내왔다. 이제 북한 비핵화 협상과 함께 한반도 평화체제 및 국가안보문제도 새로운 차원에서 논의되고 다양한 남북한 통합론도 점차 분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과목은 2차대전 이후 분단된 국가 대상으로 국내외 영향 요인들을 바탕으로 유형화하여 분단된 원인과 후속 통합논의들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베트남과 독일, 예멘 등 먼저 통일을 이룬 국가들이 서로 상이한 통합과정과 통합결과를 보인 점을 감안, 이들 국가들의 개별적 사례와 국가간 비교연구를 통해 남북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들 국가들 통합에 작용한 정치적 리더십과 종교의 역할 등도 주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이다.
북한매스미디어 기능연구(Studies on the Functions of North Korea’s Mass Media)
북한에서 당과 정부의 정책을 대내외에 홍보하고, 주민들의 사상교양을 담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신문과 방송의 운영 실태를 노동신문과 조선중앙 텔레비젼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북한 매스미디아의 기능과 그 보도 내용에 함의된 의도를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북한매스미디어 기능연구(Studies on the Functions of North Korea’s Mass Media)
북한에서 당과 정부의 정책을 대내외에 홍보하고, 주민들의 사상교양을 담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신문과 방송의 운영 실태를 노동신문과 조선중앙 텔레비젼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북한 매스미디아의 기능과 그 보도 내용에 함의된 의도를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북한이해(Understanding of North Korea)
본 과목은 북한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이해를 목표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이념, 군사, 외교, 통일정책 등 에 대한 역사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환기 세계질서와 한반도의 미래(The Strategy of Korean Peninsula)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변화를 인식하고, 한반도 미래를 위한 대한의 책략을 세운다
북한이탈주민이해(Understanding North Korean Migrants)
북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및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교회의 선교적 접근을 반성적으로 고찰한다.
남북한 교육통합과 기독교(Educational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asks and Roles of Christianity)
이 강좌는 통일 한국을 지향하는 관점에서 남한과 북한의 교육이념, 교육철학, 해방 이후 남한과 북한의 교육 형성과 발전, 남한과 북한의 교과서 분석, 교육학 체계 등을 비교 분석하면서 통일 시대에 교육적인 통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한국 기독교는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를 사회과학적 연구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